
오늘의 말씀과 묵상. 복되신 동정 마리아 탄생 축일(09/08/2023) <제1독서> ▥ 미카 예언서의 말씀입니다. 5, 1-4ㄱ 주님께서 이렇게 말씀하신다. 1 “너 에프라타의 베들레헴아, 너는 유다 부족들 가운데에서 보잘것없지만 나를 위하여 이스라엘을 다스릴 이가 너에게서 나오리라. 그의 뿌리는 옛날로, 아득한 시절로 거슬러 올라간다. 2 그러므로 해산하는 여인이 아이를 낳을 때까지 주님은 그들을 내버려 두리라. 그 뒤에 그의 형제들 가운데 남은 자들이 이스라엘 자손들에게 돌아오리라. 3 그는 주님의 능력에 힘입어 주 그의 하느님 이름의 위엄에 힘입어 목자로 나서리라. 그러면 그들은 안전하게 살리니 이제 그가 땅끝까지 위대해질 것이기 때문이다. 4 그리고 그 자신이 평화가 되리라.” 주님의 말씀입니다. ◎ 하느님, 감사합니다. <복음> ✠ 마태오가 전한 거룩한 복음의 시작입니다. 1, 1-16.18-23 1 다윗의 자손이시며 아브라함의 자손이신 예수 그리스도의 족보. 2 아브라함은 이사악을 낳고 이사악은 야곱을 낳았으며 야곱은 유다와 그 형제들을 낳았다. 3 유다는 타마르에게서 페레츠와 제라를 낳고 페레츠는 헤츠론을 낳았으며 헤츠론은 람을 낳았다. 4 람은 암미나답을 낳고 암미나답은 나흐손을 낳았으며 나흐손은 살몬을 낳았다. 5 살몬은 라합에게서 보아즈를 낳고 보아즈는 룻에게서 오벳을 낳았다. 오벳은 이사이를 낳고 6 이사이는 다윗 임금을 낳았다. 다윗은 우리야의 아내에게서 솔로몬을 낳고, 7 솔로몬은 르하브암을 낳았으며 르하브암은 아비야를 낳고 아비야는 아삽을 낳았다. 8 아삽은 여호사팟을 낳고 여호사팟은 여호람을 낳았으며 여호람은 우찌야를 낳았다. 9 우찌야는 요탐을 낳고 요탐은 아하즈를 낳았으며 아하즈는 히즈키야를 낳았다. 10 히즈키야는 므나쎄를 낳고 므나쎄는 아몬을 낳았으며 아몬은 요시야를 낳았다. 11 요시야는 바빌론 유배 때에 여호야킨과 그 동생들을 낳았다. 12 바빌론 유배 뒤에 여호야킨은 스알티엘을 낳고 스알티엘은 즈루빠벨을 낳았다. 13 즈루빠벨은 아비훗을 낳고 아비훗은 엘야킴을 낳았으며 엘야킴은 아조르를 낳았다. 14 아조르는 차독을 낳고 차독은 아킴을 낳았으며 아킴은 엘리웃을 낳았다. 15 엘리웃은 엘아자르를 낳고 엘아자르는 마탄을 낳았으며 마탄은 야곱을 낳았다. 16 야곱은 마리아의 남편 요셉을 낳았는데, 마리아에게서 그리스도라고 불리는 예수님께서 태어나셨다. 18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이렇게 탄생하셨다. 그분의 어머니 마리아가 요셉과 약혼하였는데, 그들이 같이 살기 전에 마리아가 성령으로 말미암아 잉태한 사실이 드러났다. 19 마리아의 남편 요셉은 의로운 사람이었고 또 마리아의 일을 세상에 드러내고 싶지 않았으므로, 남모르게 마리아와 파혼하기로 작정하였다. 20 요셉이 그렇게 하기로 생각을 굳혔을 때, 꿈에 주님의 천사가 나타나 말하였다. “다윗의 자손 요셉아, 두려워하지 말고 마리아를 아내로 맞아들여라. 그 몸에 잉태된 아기는 성령으로 말미암은 것이다. 21 마리아가 아들을 낳으리니 그 이름을 예수라고 하여라. 그분께서 당신 백성을 죄에서 구원하실 것이다.” 22 주님께서 예언자를 통하여 하신 말씀이 이루어지려고 이 모든 일이 일어났다. 곧 23 “보아라, 동정녀가 잉태하여 아들을 낳으리니 그 이름을 임마누엘이라고 하리라.” 하신 말씀이다. 임마누엘은 번역하면 ‘하느님께서 우리와 함께 계시다.’는 뜻이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오늘의 묵상> 오늘 교회는 복되신 동정 마리아 탄생 축일을 기념합니다. 아래의 글은 대구대교구 최창덕 신부님이 쓰신 글의 일부를 발췌하여 여러분과 함께 나누고 싶어 인용해봅니다. “교회는 감사하는 마음으로 마리아를 본다. 마리아는 온전히 구원된 첫 사람으로 미사의 영성체 후 기도에서와 또 다른 수많은 증거에서 표현하듯이 구원의 아침 햇살과 온 세상을 위한 희망의 표지가 되었다. 동시에 교회는 그녀 안에서 그리스도교적 삶의 예표와 모범을 본다. “그러므로 신자들은 눈을 들어 뽑힌 이들의 온 공동체에 덕행의 모범으로 빛나고 계시는 마리아를 바라본다.”(교회헌장 8장 65항) 실제로 마리아는 하느님 말씀에 대한 조건 없는 믿음과 하느님께 순종하는 가운데 그리고 하느님의 말씀을 간직하고 그 신비를 묵상하는 데서, 또한 친척 엘리사벳을 방문하고 가나의 혼인 잔치에서 보여 준 적극적인 이웃 사랑 안에서 모든 이에게 모범이 된다. 또한 마리아는 어둠의 시간과 당신 아들의 수난에서 하느님의 인도하심에 대한 전적인 신뢰로 고통에서 흔들리지 않고 견디어냄으로써 믿는 이들에게 모범을 보여주셨다. 그러므로 우리는 교회가 모든 세기를 통하여 천상의 어머니께 감사와 사랑을 드리는 사실을 받아들인다. 이에 교회는 많은 마리아 축일과 기념일들, 그 가운데서 특히 5월 성모 성월과 10월 묵주기도 성월 그리고 수많은 기도들과 노래들, 찬미가들 안에서 그리고 예술적 음악 작품과 회화 및 조각품 안에서 천상 어머니께 드리는 감사와 공경을 바쳐왔다. 이러한 마리아 공경은 그리스도로부터 멀어지게 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에게 더 가까이 가도록 우리를 인도한다. 누가 마리아 가까이 있다면 그리스도께도 가까이 있는 것이다. 역으로도 마찬가지이다. 누가 그리스도께 가까이 있다면 그는 그분의 어머니도 사랑하고 공경한다.” “신앙 안에서 우리의 자매로서 그녀는 우리 모두가 가야 하는 신앙의 길에 좋은 동반자가 될 것이다. 우리 모두가 조금이라도 그녀의 모범에 따라 살아간다면 우리의 공동체, 즉 우리의 교회는 확실히 사랑받을 것이다.” - B.벨테 성모님도 태어난 날이 있으셨을 것이고 우리 때로는 아주 깊은 감사를 표현할 때 “태어나줘서 고맙다”고도 말합니다. 부디 성모님을 한번 더 떠올림으로 하느님께 한 걸음 더 다가가기를 기도드립니다.
|